PuTTY 설치 및 사용법 정리

은행에서 일하다가 PuTTY 를 사용해야 하는데
몰라서 정리합니다. ㅎㅎ

 

 

PuTTY 란?

처음 들으면 생소할 수 있지만, PuTTY 는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우리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보통 서버라고 부름) 에 접속해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PuTTY 는 왜 필요할까?

보통 우리가 쓰는 우인도우 컴퓨터에는 리눅스 터미널이 없습니다. 그래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려면 특별한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그중 하나가 바로 PuTTY 입니다.

PuTTY 설치방법(윈도우 기준)

공식 홈페이지 접속

http://www.putty.org 왼쪽 주소로 접속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것을 다운로드 합니다.

그리고 설치가 끝나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에서 PuTTYgen 을 실행하여 key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Key 파일은 리눅스 서버의 보안 접속을 위해서 사용되는 파일로, SSH 접속 뿐만 아니라, SFTP 등에서도 사용되며 인스턴스 생성시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Key Generator 을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또한 생성된 Key 파일은 전체를 복사하여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고 Save private key 를 클릭하여 ppk 파일을 저장해 줍니다.

이 파일은 PuTTY 를 이용한 원격 접속시 필요한 파일입니다.

 

 

만약 제대로 생성이 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생성해 주시면 됩니다.

Conversions -> import key -> Save private key

 

PuTTY 사용법

PuTTY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나는데 Host Name 에 서버의 IP 주소 혹은 도미엔을 입력하면 됩니다.

서버와의 SSH 접속시 사용하는 Port 가 22이므로 Port 22 는 그대로 나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음으로 보안 접속을 위해 만들어 두었던 key 파일을 아래와 같이 불러옵니다.

 

그러고 나서 다시 접속을 위해 Session 탭으로 돌아와서 자신의 계정 ID 와 도메인(IP 주소) 을 확인하고, 추후 접속시 입력된 값들이 저장되도록 Saved Sessions 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Save 합니다. 이 후부터 접속할 때에는 계정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클릭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Open 버튼을 눌러 접속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접속이 되면 완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