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실습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입니다.

만약 Docker 에 대한 이론이 궁긍하시다면 CS 부분 Docker 을 읽어와 주시면 됩니다.

 

Docker 을 사용하려면 일단 환경부터 세팅 해야 합니다.

저는 node 를 이용한 서버를 만들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사전 설치

npm init -y
npm i express

 

또한 Docker 을 좀 더 쉽게 만들고 도와주는 플러그인도 설치하시면 좋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고 나서 Dockerfile 이라는 이름의 Docker 을 만드시면 됩니다.

Dockerfile 은 프로젝트의 최상단에 만들어 주셔야 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잘 변경되지 않는 부분은 코드의 상단에 넣어주어야 합니다.

도커는 변경되지 않는 부분은 캐시하고 재사용 하지만 변경된 부분과 그 위에 부분은 다시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주 변경되는 부분은 성능 측면에서 아래에 배치하면 좋습니다.

 

 

 

명령어 설명

명령어를 사용하는 현재 경로 입니다.

 

-f Dockerfile 

어떤 도커를 파일을 사용할 것인지 명시합니다.  우리가 만들어둔 Dockerfile 파일 명을 말합니다.

 

-t fun-docker

도커 이미지의 이름을 정의합니다. 해당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만들어 줍니다.

 

도커 이미지, 컨테이너 실행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docker image 가 생성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궁금하시면 docker images 를 터미널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만든 도커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p 는 백그라운드에서 우리의 container 가 실행되어야 하는데 터미널에서 이러한 작업을 함과 동시에

다른 작업도 동시에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설정하고 localhost:8080 으로 접속하면 우리의 프로젝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 8080 포트의 컨테이너를 중지 시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하게 해당 컨테이너의 ID 를 찾아 stop , 즉 정지를 하시면 됩니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ML  (2) 2024.11.19
DLL 이란  (2) 2024.11.07
Docker  (1) 2024.10.26
DNS 의 기초 상식  (0) 2024.08.19
운영체제 기본에 대해서  (0)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