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SQL 에서는 SQL Developer 이라는 편리한 도구를 지원해 줍니다.
DB 접속 테스트를 위한 신규 저장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도 추가하여 Tablespace 와 연결을 해야 합니다.
테이블 스페이스 열기
테이블 스페이스 작업을 하려면 sys ( 운영자 계정 ) 계정으로 접속을 하며 접속 정보가 없다면 신규로 생성하면 됩니다.
위에 사진처럼 기본 값을 입력하고 비밀번호는 디비 생성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합니다.
테스트 버튼으로 접속을 확인하고 저장버튼으로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그리고 접속 버튼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을 한 후에는 테이블 스페이스 작업을 위해 DBA 창을 열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메뉴에서 보기 > DBA 를 선택합니다.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기존 테이블 스페이스들이 파일로 존재하고 있으며 신규로 만들어야 한다면 새로 만들기를 눌러야 합니다.
새로 만들기을 클릭하면 테이블스페이스 생성이 나오는데 원하는 설정 값을 넣어 테이블스페이스를 만들시면 됩니다.
사용자 생성 연결
테이블스페이스를 만들었으면 새로 생성된 테이블스페이스에 사용자를 연결해야 합니다.
접속 탭에 생성한 sysdba 를 확장하여 아래로 완전히 내리면 다른 사용자가 나오는데 확장을 하면 등록된 사용자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를 신규로 생성하고 테이블스페이스와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아래 사진에서 다른 사용자에 우클릭 후 사용자 생성(B)... 를 눌러줍시다.
그러면 사용자 생성 화면이 나옵니다.
사용자 이름을 적당한 이름으로 입력을 하고 테이블스페이스에 신규로 생성한 테이블스페이스를 선택합니다.
임시테이블스페이스는 TEMP 를 선택했습니다. 이후 원하는 설정값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원하는 설정값을 전부 선택했다면 적용 버튼을 누르시면 연결이 성공했다고 알려줍니다.
사용자 접속 후 테이블스페이스 확인
마지막으로 테이블스페이스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신규로 생성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해야합니다.
접속이름은 대충 적고 사용자 이름을 신규로 생성한 ID 를 입력합니다.
이후 테스트 버튼 -> 저장 버튼 -> 접속 버튼 순으로 클릭을 합니다.
최종적으로 잘 연결된 테이블스페이스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테이블 만드는 방법( CREATE, PK, INDEX, COMMENT ) (0) | 2024.12.16 |
---|---|
SQL 기본키, 외래키 (1) | 2024.12.09 |
변환함수 - TO_CHAR, TO_DATE, TO_NUMBER (0) | 2024.12.09 |
SQL AS : 필드, 테이블 명을 다시 지을 때 (1) | 2024.12.05 |
문자열 함수, 숫자형 함수 (0)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