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native 에서 firebase 적용하기
생각보다 옛날 버전의 react-native 에서
firebase 를 적용하는 방법이 많아
직접 해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s://rnfirebase.io/#3-ios-setup
React Native Firebase | React Native Firebase
Welcome to React Native Firebase! To get started, you must first setup a Firebase project and install the "app" module. React Native Firebase is the officially recommended collection of packages that brings React Native support for all Firebase services on
rnfirebase.io
해당 공식문서를 보면 충분히 firebase 를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귀찮으신 분들은 제 블로그를 찬찬히 읽어보시면 더 쉽게 적용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
일단 기본적으로 react-native 를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npx create-react-native-app chan-app --use-npm
chan-app 이라는 이름은 폴더명이기 때문에 바꾸어 주셔도 됩니다.
설치가 끝나고 나면 npm install --save @react-native-firebase/app 으로 설치를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firebase 에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저는 chan-coin 이라는 프로젝트 이름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저는 react-native 를 개발할 때 ios 를 중점으로 개발하기 때문에 그림에서 보이는 iOS+ 를 눌러 진행했습니다.
iOS+ 를 누르면 저렇게 사진처럼 나옵니다.
여기서 Apple 번들 ID 는 밑에 첨부한 사진처럼 진행 하시면 최종적으로 나오는 Bundle Identifier 를 참고해서
Apple 번들 ID 에 넣으시면 됩니다. 다른 부분은 선택사항이기 때문에 앱 등록으로 넘어 가셔도 됩니다.
여기까지 하면 다음 구성 파일 다운로드 Part 로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한 뒤 다운로드한 파일을 ios/ 경로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아까 Bundle Identifier 를 참고하기 위해 열어둔 곳에서 폴더명에 우클릭을 하면 addFiles to "chancoin" 이 나오실 것입니다.
해당 addFiles to "chancoin" 을 누르시면 됩니다.
( chancoin 은 react-native-app 을 만들 때 저의 프로젝트 폴더 명입니다. 여러분은 다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까 다운로드 받은 GoogleService-Info.plist 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옵션은 저렇게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저렇게 설정을 하시고 Add 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vscode 를 확인하면 저렇게 해당 파일이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해야 할 작업은 복사 ~ 붙여넣기 입니다.
ios 폴더 안에 내가 만든 프로젝트 이름인 폴더로 들어가면 AppDelegate.mm 이라는 파일이 나옵니다. 해당 파일을 클릭 한 뒤에
밑에 빨간줄을 그대로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ios 안에 있는 Podfile 에 특정 코드를 넣어주어야 합니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까지 하고 터미널에 npx pod-install 을 하시면 자동적으로 firebase 를 설치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빠르게 그냥 다음다음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